대전 레노버 씽크패드 X1 카본 Gen9 전원 불량 메인보드 수리
-
3회 연결
-
- 관련링크 : https://g.co/kgs/fJYrpT23회 연결
본문
레노버 ThinkPad X1 Carbon Gen 9 모델의 전원 불량으로 만년동 레노버 공식 서비스
센터 방문해 보드 불량 판정을 받고 사설 회로 수리 전문 컴지기로 접수해 주셨습니다
첫음에는 충전 C 포트 2개중 한개가 맛이가 나머지 한개로 쭉 잘 사용해 왔는데 2개다
전원이 켜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
카본 재질의 하판을 분리합니다 14인치 사이즈 내부에 빈틈없이 공간을 꽉 채웠습니다
상단에 듀얼 쿨링 팬과 구리 히트파이프가 CPU와 연결되어 효율적인 열 관리 시스템을 구성합니다
중앙에는 Intel 프로세서가 장착된 메인보드와 주변에 온보드 메모리 칩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하단의 대용량 리튬이온 배터리는 15.44V 3600Wh 사양으로 2020년 10월 24일 제조되었으며
Sunwoda Electronic에서 생산되었습니다 좌측에는 USB Type-C 포트와 오디오 잭이 있는 I/O
보드가 연결되어 있고 우측에는 SSD 슬롯과 무선랜카드 영역이 보이며 전체적으로 초슬림 울트라북
특유의 고밀도 집적 설계가 돋보입니다![]()
보드를 분리하고 누수 보호 필름을 떼어내는데 부품 소자가 같이 딸려 나옵니다 F42 F43으로
표기된 부품 주변이 변색되었고 일부 부품의 납땜이 들떠 있습니다 고온으로 인한 열화 흔적이
명확합니다 이 영역이 바로 USB Type-C PD(Power Delivery) 전력 관리 회로입니다 문제의
핵심은 TPS65994 PD 컨트롤러 칩입니다 이 칩은 Texas Instruments에서 제조한 USB Type-C
및 USB PD 3.0을 관리하는 통합 컨트롤러입니다 최대 100W 전력 전송을 지원하며 전압 협상
전류 제어 과전류 보호 기능을 담당하는데 해당 칩의 원인으로 전력 모스펫에 엄청난 부하를
모스펫은 전류를 스위칭하며 전력을 공급하는데 과부하나 과전압 상황에서 발열이 급증합니다
정상 작동 시 50~70도를 유지해야 하지만 불량 발생 시 150도 이상으로 상승하여 부품이 탄화됩니다
마치 과부하가 걸린 변압기가 타버리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문제가 레노버뿐만
아니라 ASUS 노트북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TPS65994 칩을 사용하는 여러 제조사의
노트북에서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질적인 설계 결함이나 칩 자체의 품질 문제로 추정됩니다
특정 전압이나 전류 조건에서 칩의 제어 회로가 오작동하면서 모스펫에 과도한 전류를 흘려보내는
것으로 보입니다 TPS65994 칩 교체하고 불량 모스펫 수리를 완료합니다 주변 저항과 커패시터 값이
올바른지 확인합니다 유튜브 영상 재생 중 노트북 내부 열을 측정해 PD 회로 온도를 확인합니다
54도 유지하며 정상입니다

네이버 플레이스
https://map.naver.com/p/entry/place/12836897?placePath=%2Fhome&c=15.00,0,0,0,dh
구글 플레이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daejeonpcas
티스토리 블로그

댓글목록 0